Home

서버관리_01 서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IP 주소 목록 얻기

출처 : 유닉스 리눅스 쉘스크립트 예제사전_한빛미디어 명령어: ifconfig, awk 키워드: NIC, IP주소,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처: 서버 NIC와 IP 주소 목록을 표시하고 싶을때 실행예제 $ ./nic-ipaddr.sh [eth0] 10.211.55.18 [eth1] [lo] 127.0.0.1 스크립트 #!/bin/bash # ifconfig 명령어로 유효한 인터페이스 표시 # awk 명령어로 인터페이스명과 IP 주소 추출 LANG=C /usr/sbin/ifconfig |\ # ---- 1 awk '/^[a-z]/ {print "[" $1 ...

Read more

리눅스 서버 및 윈도우 내 아이피(IP) 확인방법 / Linux, windows public ip check

리눅스 서버를 사용하거나, 또는 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의 외부 공인 IP를 확인해야할 상황이 종종 발생합니다. 가장 간단하고 쉬운 command 명령어 입니다. 리눅스에서만 사용가능한 줄 알았으나, 윈도우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. 숙지하고 계시면, 간단한 명령어로 현재 장비가 사용중인 공인 IP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1. 내아이피 확인(외부 공인) 리눅스, 윈도우(cmd실행 후) 내 컴퓨터의 외부 공인 IP 확인 $ curl ifconfig.me 2. 리눅스 내부 IP 확인 $ ifconfig $ ip addr 3. 윈도우 내부 I...

Read more

리눅스 부팅전 상태 백업 명령어 / Linux info backup before reboot

리눅스 부팅전 서버 정보 백업 스크립트. 리눅스서버를 부팅하기전 서버의 정보를 백업하는 스크립트 입니다. 추가로 필요한 정보는 덧붙여 수정하여 사용하면 됩니다. root 계정으로 하셔야 합니다. #!/bin/bash DATE=$(date +%Y-%m-%d_%H:%M) mkdir $DATE df -Th > /root/info/$DATE/df.info ifconfig -a > /root/info/$DATE/ifconfig.info netstat -rn > /root/info/$DATE/netstat.info ps -ef > /root/...

Read more

리눅스 nohup 명령어 / Linux nohup

nohup 명령어를 통해 데몬 프로세스 구동 리눅스에서 백그라운드로 데몬을 실행시키는 nohup 명령어입니다. 데몬을 시작하거나, 중지시킬 경우 하기와 같이 script를 작성해 놓으면 구동 및 중지하는데 간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. 예전에 사용했던 프로메태우스의 Alert 설정 시 사용했던 스크립트 입니다. 참고하셔서 알맞게 수정 후 사용하시면 됩니다. vi start.sh #!/bin/sh nohup ./alertmanager --config.file=alertmanager-config.yml 1> /dev/null 2>&1 & vi stop.sh #!/bin/...

Read more

리눅스 스왑메모리 생성 / Linux make swap memory

리눅스에서 Swap 메모리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. 1. swap file의 생성 Swap의 메모리의 어느정도로 설정할지 결정 후 dd 명령어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이 swapfile 을 만들어 줍니다. Swap 4G 생성시 $ sudo dd if=/dev/zero of=//swapfile bs=1M count=4096 # 방법 1 $ sudo fallocate -l 4GB /swap/swapfile # 방법 2 Swap 2G 생성시 $ sudo dd if=/dev/zero of=/swap/swapfile bs=1M count=2048 #방법 1 $ sudo fallocate -l 2GB /swap/...

Read more

리눅스 openssl을 활용한 파일 암,복호화 / Linux using openssl for file encryption

리눅스 사용시 로그파일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갯수가 증가하게 되면, 로그를 주기적으로 삭제해 줘야 합니다. 하지만 로그의 보관주기를 생각하면 일정기간 로그파일을 남겨둬야 하고, 시간이 어느정도 흐른 후 과거 로그파일을 들춰봐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. 로그에는 민감한 정보가 남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보안적 측면에서 로그파일을 담당자만 열람 할 수 없게 openssl을 이용하여 파일을 암호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openssl 을 이용하여 파일 암호화 암호화(aes-256-cbc) openssl aes-256-cbc -in my_file.txt -out my_file.enc ...

Read more

리눅스 user command logging / Linux user command logging

1. user command history 로깅 설정 각 계정의 사용자가 어떤 명령어를 실행했는지 이력을 남기는 방법입니다. 아래와 같이 userhistory.sh 를 생성합니다. vi /etc/profile.d/userhistory.sh function history_to_ceelog { declare command remoteadd="`who am i`" command=$(fc -ln -0) if [ "$command" != "$old_command" ]; then logger -p local0.notice -t bash[$$] "remoteip=$remoteadd" : "user=$US...

Read more